-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y Issues in Geometry and Task Modification: Focusing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Strategies for Solving Type 1 Dilemma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남혁(Nam-Hyeok Im) 문성재(Seong-Jae Moon)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2호, 259~2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과제 변형 능력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도형의 닮음 이해와 과제 변형 전략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닮음의 제1형 정의 관련 딜레마 해결 전략을 탐구하였다. 충청북도 소재 사범대학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도형의 닮음 단원 과제 변형을 요청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질문 변형, 체계 변형, 예 변형 순으로 과제를 변형하였고, 다수가 제1형 딜레마 해결을 시도하였다. 닮음 이해도가 높은 예비교사는 다양한 변형 유형과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의 변형을 시도한 반면, 이해도가 낮은 예비교사는 제한된 변형에 의존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육에서 개념적 이해와 과제 변형 전략의 통합적 접근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ask modification ability is essential for developing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geometric similarity and their task modification strategies, exploring strategies for resolving first-type definition dilemmas. Twenty pre-service teachers from a teachers' college in Chungcheongbuk-do modified middle school geometric similarity tasks. Results showed teachers primarily used question, system, and example modifications, with many attempting first-type dilemma resolution. Teachers with higher similarity understanding employed diverse modification types and higher cognitive effort levels, while those with lower understanding relied on limited modif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integrated approaches to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ask modification strategie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유리수의 순환소수 표현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의 증강된 종이 기반 수학 학습 환경 설계 원리 개발 연구: 구의 부피 개념 탐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