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이용수  3

영문명
Exploring Teacher’s Learning Process through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Infant and Toddler Observation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임환미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459~48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들이 스스로 영유아 관찰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인식하고 성찰하며, 영유아를 이해하는 관찰을 실행해 가는 교사의 학습과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2025년 3월부터 6월까지 어린이집 교사 5명과 2주 간격으로 심층면담 6회를 실시하며 실행연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 전사자료, 교사의 관찰일지, 연구자 일지이고, 이동성과 김영천(2014)의 분석절차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 관찰을 위한 교사의 학습과정은 의무적으로 기록, 자신의 관찰 행동 의식, 아이에게 다가가기, 새로운 인식과 반성, 교사의 변화․관계의 변화, 변화를 위한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표준보육과정의 울타리 안에 머물며 관찰을 하고 있었고, 선택적이고 의도적인 관찰을 객관적인 관찰로 여겨왔다. 영유아를 이해하는 관찰을 위해서는 영유아 자체 관찰 및 기록계획특정행동 관찰 및 기록해석교사의 과제 찾기 및 지원평가와 같은 일정한 순서와 순환적 실천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전문가가 동반하여 교사의 학습과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형식적인 관행을 개선하고 체계적인 관찰을 돕는 단계식 모델 개발 및 보급, 전문가와의 해석 동반 시스템 운영, 현장 중심의 몰입형․체험형 연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learning process of teachers who recognize and reflect on how teachers experience infant and toddler observation on their own, and implement observations that understand infants and toddlers. To this end, from march to June 2025, a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six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every two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teacher’s observation record. and researcher’s journals.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procedure of Lee Dong-sung and Kim Young-cheon(2014). The teacher’s learning process appeared in order infant and toddler observation was compulsory recording, self-observation behavior consciousness, getting closer to infant and toddler, new perceptions and reflections, teacher change and relationship change, and support for change. Teachers stayed in the enclosure of the standard childcare process and were observing. And teachers have regarded selective and intentional observations as objective observations. It was necessary required repetition of constant procedures and cyclical practices for observation of understanding infant and toddler, such as observing and recording the infant and toddler itself-planning-observe and record certain behaviors-interpreting-finding and supporting the teacher’s assignments-evaluation.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support the teacher’s learning process with experts at each stag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was suggested that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tep-by-step models that improve formal practices and aid systematic observation, operate expert interpretation companion systems, experience based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환미. (2025).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 (2), 459-481

MLA

임환미.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2(2025): 459-4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