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고수현 김태량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3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생 시기의 대학생활적응은 성인기 책임감 있는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측면에서 개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 이론을 기반으로 한 구조적 경로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정서적 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변인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근거에 기초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5년 3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측치가 없는 293명의 자료에 기초해서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접적인 경로분석에서는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 요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 시기의 셀프리더십 함양이 자기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을 추구하고, 자율성과 자기규제로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면서 대학생활적응을 높여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셀프리더십 함양에 기초한 셀프 리더적인 사고는 대학생의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측면에서 정서지능을 높여주고,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증적 연구결과는 예비사회인의 시기에 있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증진과 정서지능 향상에 책무성이 부여된 교육현장이나 심리상담현장에서 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Adapting to college life during one's college years is recognized as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n individual's life, as it acts as a factor in growing into a responsible member of society in adulthoo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applying a structural path model based on self-leadership theory. In addition,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study aimed to explore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from March to May 2025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based on data from 293 respondents with no missing valu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eadership,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eadership,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urth, in the indirect path analysis, we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s shows that cultivating self-leadership during college helps you grow into a self-driven person, lets you control your thoughts and actions with autonomy and self-regulation, and makes it easier to adjust to college life. Also, self-leadership-based thinking boosts your emotional intelligence in a positive and active way and helps you adjust to college life. Therefore,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practical programs in educational settings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settings that are responsible for promoting self-leadership and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college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enter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불안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사회적 고립 청소년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검증
- 영유아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장애위험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자기분화의 순차매개효과
-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