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in Adult Learners in Vocation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류금주 강충서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67~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인식된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살피고, 이러한 관계를 학습성과가 어느 정도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직업능력향상교육 맥락에서 참여동기와 학습성과가 삶의 질 인식과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는지를 체계적으로 밝히고, 효과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의 2022년도 평생학습 개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삶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직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참여동기와 학습성과 간에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성과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동기가 학습성과를 통해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했으며, 이 중 총효과 대비 간접효과 비중은 약 18%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업능력향상교육이 단순한 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넘어, 참여동기와 학습성과를 매개로 삶의 전반적 만족도를 제고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among lifelong learners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Furthermore, it seek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utcomes on this relationship. The objective is to systematically elucidate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are linked to the perception of quality of life in this context, there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designing effective lifelong learning programs. For the methodolog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Korean Lifelong Learning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rect effect was confirmed, wherein higher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perceived quality of life. Seco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Third, higher perceived learning outcom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 higher perceived quality of life. Fourth,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learning outcomes; this indirect effect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8% of the total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transcends its role as a mere skills enhancement program. Instead, it holds the potential to improve overall life satisfaction by leveraging the interplay between learners' motivation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불안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사회적 고립 청소년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검증
- 영유아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장애위험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자기분화의 순차매개효과
-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