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원영선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287~30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 지역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장애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유아 권리 존중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제주지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교사와 장애유아 담당 교사 128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5점 척도형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문항 내적 신뢰도는 Cronbach ɑ .989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증, F검증, Scheffe 사후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근무 기관 유형, 교사의 연령, 장애 관련 연수시간, 장애관련 교과목 이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경력요인과 장애유아 교육 경험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인식에 비교하여 실행도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유아 권리의 하위 요인 중 생존권은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 차이가 없었으나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은 중요도 인식에 비해 실행도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장애유아 권리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regarding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ju reg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12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eju region. The research tool was a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tha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previous studies, with an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of .98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F-tests, and Scheffe post ho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 Second,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not affected by the type of institution, teachers' age, hours of disability-related training, or degree of completion of disability-related courses. However, the awareness was affected by the teachers' years of experience and whether they had experience work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teachers’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such rights.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implementation in the right to survival. However, for the rights to protection,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the perceived implementation was lower than the perceived importance. Lastly, the content of educat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iscuss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영선. (2025).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 (2), 287-309

MLA

원영선.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2(2025): 287-3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