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Couple Schema and Couple Satisfaction: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한기명 양혜정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89~1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인의 커플 관계와 관련된 부적응적 신념인 커플 도식이 부부간의 긍정적․부정적 정서적 상호작용을 매개로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30∼59세 기혼 남녀 219명을 대상으로 커플 도식, 정서적 상호작용, 정서조절, 부부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커플 도식은 부부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이 각각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였다. 특히 정서조절은 긍정적 상호작용 경로의 효과를 강화하여, 정서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상호작용이 부부만족도를 더욱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상호작용경로에서는 정서조절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부부 상담 시, 부정적 상호작용을 줄이는 노력뿐 아니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켜 긍정적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은 논의를 통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schema defined as maladaptive beliefs related to couple relationships and couple satisfaction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spouses. A total of 219 married men and women, aged 30 to 59 and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measures of couple schema, emotional interaction, emotion regulation, and couple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ests of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uple schema had a negative effect on couple satisfaction,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interactions serving as significant mediators. In particular,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to strengthen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al interaction, such that higher levels of emotion regulation further enhanced the positive impact of emotional interaction on couple satisfaction. In contrast, no moder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in the pathway involving negative emotional inte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marital counseling, interventions should not only aim to reduce negative interactions but also focus on improving emotion regulation skills to foster positive interactions. The implication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검증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불안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사회적 고립 청소년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학교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영유아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장애위험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자기분화의 순차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