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Type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Subject to Family Protection Disposition No. 8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선이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265~2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기 인식과 배우자 인식 간 차이를 포함한 5가지 연구문제를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상담센터에서 법원으로부터 상담위탁 처분을 받은 36쌍(총 72명)의 부부이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이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비모수 검정, 상관분석, 분산분석 및 부분최소제곱(P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 인식과 배우자 인식 간 의사소통 유형에 유의미한 불일치가 나타났다. 둘째, 개별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전반적 의사소통은 결혼만족도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정서적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의사소통 모두 결혼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문제해결 의사소통이 더 큰 영향력을 보였다. 다섯째, 경제적 요인은 전체적으로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낮은 경제 수준은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는 부부상담에서 갈등 해소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s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court-mandated married couples who received Protective Disposition No. 8 under the Domestic Protection Act. A total of 36 married couples (72 individuals) referred to a counseling center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21 to June 2024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non-parametric tests,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partial least squares(PLS) regress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self- and partner-perceived communication patter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were found across individual communication types. However, overall commun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Emotional and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bot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with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having a stronger impact. Economic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overall, but low economic status negatively affected women’s marita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training in counseling court-referred coup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검증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불안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사회적 고립 청소년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학교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영유아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장애위험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자기분화의 순차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