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Gender Equality and Communication Factors within Families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아영아 오경은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83~2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30대에서 60대 부부 350쌍(총 700명)을 대상으로, 그 중 고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32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 내 성평등 의식과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요변수는 성평등 요인(가사노동 분담 만족도, 자녀돌봄 분담 만족도, 가족 내 성평등 인식)과 의사소통요인(배우자 및 자녀와의 의사소통 만족도)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내 성평등 인식이 가족관계 만족도를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였으며,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 분담 만족도,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만족도 역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자녀와의 의사소통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통제변수 분석에서 연령은 가족관계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성별․학력․소득․경제활동 여부․자녀 수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관계 질 향상을 위해 성평등한 역할 구조 확립과 부부 간 개방적․지지적 의사소통이 핵심적임을 시사한다. 특히 성평등 인식은 단순한 역할 분담 차원을 넘어, 가족 구성원의 관계적 만족을 높이는 문화적․심리적 자원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 만족도의 주요 결정요인을 성평등과 의사소통의 통합적 관점에서 규명함으로써, 향후 부부 교육․상담 프로그램 및 성평등 가족 문화 확산 정책 수립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equality and communication factors influenc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322 respondents with children in high school or below, selected from 350 married couples (700 individuals) aged 30-60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Surve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Family Gender Equality in Busan (Busan Women and Family and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2024), the analysis considered three gender equality factors-satisfaction with housework sharing, satisfaction with childcare sharing, and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within the family-and two communication factors-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with spouse and with children.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housework sharing, satisfaction with childcare sharing,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with spouse. Communication with children was not significant. Age had a negative effect, while gender, education, income, employment, and number of children were not significant.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equitable role division and open, supportive spousal communication. Perceived gender equality functions as a cultural and psychological resource, enhancing relational satisfaction. The study offers empirical evidence to guide couple education, counseling programs, and policies fostering a gender-equal family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검증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불안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사회적 고립 청소년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학교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영유아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장애위험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자기분화의 순차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