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Subjective Risk Intelligence Scale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유지영 전화연 백연우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431~45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위험지능을 측정하는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한국 사회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위기와 불확실성이 난무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는 위기를 기회로 여길 수 있고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를 직면할 수 있는 새로운 심리적 자원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관적 위험지능을 모든 결과가 완전히 예상되지 않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결정들에 대해 장단점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보았던 Craparo 등(2018)이 개발한 Subjective Risk Intelligence(Craparo et al, 2018: SRI)척도 21문항을 번안하여 성인 1차 예비조사를 통해 주관적 위험지능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항의 타당도와 내적 일관성 신뢰도 분석 확인한 결과, 원척도에서 5개 문항을 삭제한 16개 문항, 4개 하위 요인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는 원판 SRI과 마찬가지로 창의적 역량, 문제해결 자기효능감, 불확실성에 대한 긍정적 태도, 정서적 스트레스 취약성의 4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K-SRI)의 내적 일치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수렴 및 변별 타당도도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K-SRI)가 개인의 위험지능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며 후속연구에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bjective Risk Intelligence (SRI) scale among adults residing in Korea and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 the Korean context. In contemporary society, where crises and uncertainties are pervasive, individuals need to develop new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enable them to perceive crises as opportunities and cope with unpredictable changes. This study translated the 21-item SRI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Craparo et al. (2018)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alysis indicated that a revised version with 16 items and four sub-factors, after deleting five items from the original, was appropriate. A subsequent survey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ubjective Risk Intelligence scale (K-SRI) maintained the same four-factor structure as the original: creative competence, problem-solving self-efficacy, positive attitude toward uncertainty, and emotional stress vulner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SRI was found to be at an acceptable level, and bot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suppor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SRI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individuals’ levels of subjective risk intelligence in Korea.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영,전화연,백연우. (2025).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 (2), 431-457

MLA

유지영,전화연,백연우.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2(2025): 431-4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