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n Challenging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Understanding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강영숙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311~3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사회 통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교육 및 복지 현장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의 도전적 행동이 사회 통합의 주요한 어려움으로 부각됨에 따라,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들을 규명할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2차 패널데이터(2025년 4월 배포)를 활용한 양적 연구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만 9세 이상 24세 이하의 발달장애 청소년 1,034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Model 1을 적용하여 자기이해도의 조절 효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의 측정도구는 패널조사에서 사용된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기이해도, 도전적 행동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높을수록 도전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이해도가 이 관계에서 중요한 조절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이해도가 낮은 청소년 집단에서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이 도전적 행동을 줄이는 데 더욱 큰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도전적 행동 중재를 위해 기존의 행동주의적 접근을 넘어, 청소년의 내적 자원인 자기이해도 증진을 위한 통합적 개입이 필수적임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자기이해도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for the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ently, as challenging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emerged as a major difficulty in social integration in education and welfare settings, the study originated from the need to identify key factors influencing challenging behaviors. To this end, it seeks to determine the direct impact of daily living skill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challenging behaviors.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research using the second wave panel data of the “Survey on the Work and Life Condition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stributed in April 2025). A total of 1,034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9 to 24, who met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ubjects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understanding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1. The main variable measurement tools utilized in the study were the daily living skills, self-understanding, and challenging behavior scales used in the panel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daily living skil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challenging behavior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elf-understanding acts as an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 in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in the group of adolescents with low self-understanding, improvements in daily living skills had a greater effect on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the interven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an integrated approach that goes beyond traditional behavioral methods to enhance adolescents' internal resource of self-understand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challenging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stablishing more effective and fundamental support strategies by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self-understand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검증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불안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사회적 고립 청소년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학교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영유아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장애위험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자기분화의 순차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