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Caregiver Burden on Life Satisfaction Young Car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기은하 윤명숙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57~1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족돌봄청년들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가족돌봄청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향과 실천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원자료 중 가족돌봄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460명의 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과 PROCESS Macro 4.2(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들의 돌봄부담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은 돌봄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통제변수 중 연령과 가구소득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은 사회적 관계망이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돌봄부담이 가족돌봄청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위축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carers, with the aim of suggesting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nd practice strategies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Using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460 respondents aged 19 to 34 who reported family caregiving experiences (excluding spousal or parental care) were analyz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8.0 and PROCESS Macro 4.2 (Model 4).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caregiver burde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social networks. Second, greater caregiver burden significantly reduced young carers’ life satisfaction. Third, social network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social networks can buffer the negative influence of caregiving responsibilities. Fourth,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and household income significan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while gen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 to either social networks or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er burden constrains the social networks of young carers and lowers thei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reduce caregiving burdens and enhance social support networks for young car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여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검증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 사회복무요원의 성인애착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불안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직업능력향상교육 평생학습자가 인식한 참여동기와 삶의 질 인식 간 관계에서 학습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 기혼 남녀의 커플 도식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사회적 고립 청소년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학교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가족 내 성평등 및 의사소통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정보호 8호 처분을 받은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권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도전적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자기이해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영유아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장애위험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자기분화의 순차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한국판 주관적 위험지능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성찰을 통한 학습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