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이용수  0

영문명
The Process of Teacher Socialization Experiences of Beginn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황보한 이안수 박성기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957~98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과정을 통해 교직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탐구하는 것입니다. 내러티브 탐구 접근법을 사용하여 경력 5년 미만의 중학교 초임 체육 교사 4명의 실제 경험을 조사했습니다. 각 사회화 단계에 맞춰 진행된 반구조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Lawson(1983)의 3단계 사회화 모형과 귀납적 주제 분석을 결합하여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사회화 단계에서 초임 체육교사들은 어린 시절부터 체육 활동을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가족과 또래의 지지, 열정적인 교사와의 만남을 통해 체육교사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전문적 사회화 단계에서는 대학 전공과 교생실습, 임용시험 준비를 통해 이론과 실천을 연결했으나, 짧은 실습 기간과 이론 중심 교육으로 실천 역량 강화에 한계가 있었다. 조직적 사회화 단계에서는 수업 운영, 학생 지도, 행정 업무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동료협력과 선배 교사의 멘토링을 통해 적응하고 반복적 경험과 학생과의 정서적 관계 형성으로 자율성과 자신감을 키우며 교사로서 의미를 재확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 전문성 개발과 정서적 회복 전략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beginn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he socialization process. Using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the actual experiences of four novice middle school PE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ligned with each stage of socialization and analyzed by combining Lawson’s (1983) three-stage socialization model with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during the anticipatory socialization stage, novice PE teachers formed their teacher identity through positive experiences in physical activities from early childhood, support from family and peers, and encounters with passionate PE teachers. In the professional socialization stage, they connected theory and practice through their university major, teaching practicums, and preparation for certification exams, although short practicum periods and theory-centered education limited practical competency development. I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age, they faced challenges in lesson management, student guidance, and administrative duties but adapt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mentoring from senior teachers. Through repeated experiences and emotional connections with students, they gained autonomy and confidence, reaffirming their meaning as teachers. The study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recovery strategies throughout this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Ⅳ. 교직 사회화 과정의 대응 전략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보한,이안수,박성기. (2025).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교육발전, 45 (2), 957-986

MLA

황보한,이안수,박성기.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교육발전, 45.2(2025): 957-9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