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졸 취업자의 비인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Non-Cognitive Skills of Employed University Graduate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효영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719~7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 청년패널 2021(YP 2021) 2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졸 취업자의 비인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총 2,045명으로, 남성 783명(38.3%)과 여성 1,262명(61.75%)이다. 분석자료는 결측치 처리를 거친 후 기초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변수로는 건강, 업무 내용과 전공 일치도, 직업훈련 참여, 기업체 규모, 진로발달, 직장만족도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진로발달과 직장만족도는 비인지적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은 진로발달 및 비인지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업훈련 참여 경험은 직장만족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기업체 규모는 직장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발달과 직장만족도가 비인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졸 취업자의 비인지적 능력 향상을 위한 진로발달과 직장만족도 제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학 교육과정과 기업 직무간 연계 강화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on-cognitive abilities of college graduates in employment, using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Youth Panel 2021 (YP 2021). The sample consisted of 2,045 participants, including 783 men (38.3%) and 1,262 women (61.75%). After handling missing values, basic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key variables in the analysis included health, job–major relevance,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firm size, career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career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non-cognitive skills. Second, health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career development and non-cognitive skills, wherea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firm size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career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demonst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non-cognitive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career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improving the non-cognitive skills of employed college graduates, and proposes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university curricula and workplace dutie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교양 교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진로 다변화를 위한 K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진로 로드맵 개발 사례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분석
- 대졸 취업자의 비인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 아동·청소년의 동물매개상담의 변화촉진요인과 효과에 대한 질적다중사례연구
- 대학교육체제 개혁을 위한 근간으로서 대학 교육력 키우기의 실천논리
- 학교폭력 피해를 겪은 은둔형 외톨이 경험 청소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 5세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 양육지원과 일‧가정 양립지원 서비스 요구도 분석: 창원특례시를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적용한 AI기반 심리상담 도구 활용에 대한 예비전문상담교사의 인식 연구
-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영어교육 분야의 마인드셋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증
- 사교육 인프라와 재수 선택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교사의 장소와 ‘얽힘’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미국 농촌 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 분석
- 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2023년부터 2025년까지를 중심으로
- 초·중등 교사의 전문성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 요인 분석
- 초등교사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뷰카(Vuca)시대 전문대학생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진로의 카오스(Chaos) 이론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영어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 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시기의 단위학교 모니터링 연구–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
-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xamining and Rethinking the Theory of Capitalist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ic History
- The Theoretical Logic and Historical Orientation of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 The Pioneering Contribution and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On the Ten Major Relationships in Exploring the Path of Chinese-style Moderniz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