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청소년의 동물매개상담의 변화촉진요인과 효과에 대한 질적다중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on Change-Facilitating Factors and Effects of Animal-Assisted Counsel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수아 오인수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489~51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질적 연구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상담 참여 경험을 탐색하여 과정상의 변화촉진요인과 그에 따른 상담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 내담자와 그들의 보호자가 포함된 총 11개의 사례를 다중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변화촉진요인은 ‘물리적 교감을 통한 직접적 상호작용’(예: 산책, 쓰다듬기, 핸들링)과 ‘심리적 교감을 통한 간접적 상호작용’(예: 동물의 존재 인식, 반려동물 경험 회상)이라는 두 영역에서 총 8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는 감각 자극과 정서적 유대감을 증진시켜, 상담에 대한 몰입도와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핵심 매개로 작용하였다. 상담 효과는 정서적(예: 정서 조절 등), 인지적(예: 자기이해 증진, 생명존중 의식 향상), 사회적(예: 대인관계 개선, 공감 능력 향상), 신경생리학적(예: 긴장 완화, 수면 질 개선)의 네 영역에서 총 15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간-동물 상호작용이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회복과 관계적 성장에 기여하는 치료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제시하며, 동물매개상담의 실천적 적용과 구조적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변화촉진요인과 상담 효과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혼합연구 및 종단적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nimal-assisted counseling(AAC), with the aim of identifying change-facilitating factors and resulting therapeutic effects. A total of 11 cases involving child and adolescent clients and their guardians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 case study approach. The findings revealed eight change-facilitating factors across two domains: direct interaction through physical engagement (e.g., walking, petting, handling) and indirect interaction through psychological connection (e.g., awareness of the animal’s presence, recollection of experiences with companion animals). These factors served as key mediators that promoted sensory stimulation and emotional bonding, contributing to therapeutic immersion and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Counseling effects were identified across four domains—emotional (e.g., emotional stabilization,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s), cognitive (e.g., increased self-understanding, enhanced respect for life), social (e.g.,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eater empathy), and neurophysiological (e.g., reduced tension, improved sleep quality)—totaling 15 specific outcomes. The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e therapeutic value of human–animal interaction in promoting psychological recovery and relational development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ese findings offer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structural expansion of animal-assisted counseling and underscore the need for future mixed-methods and longitudinal research to further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facilitating factors and counseling outcom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교양 교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진로 다변화를 위한 K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진로 로드맵 개발 사례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분석
- 대졸 취업자의 비인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 아동·청소년의 동물매개상담의 변화촉진요인과 효과에 대한 질적다중사례연구
- 대학교육체제 개혁을 위한 근간으로서 대학 교육력 키우기의 실천논리
- 학교폭력 피해를 겪은 은둔형 외톨이 경험 청소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 5세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 양육지원과 일‧가정 양립지원 서비스 요구도 분석: 창원특례시를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적용한 AI기반 심리상담 도구 활용에 대한 예비전문상담교사의 인식 연구
-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영어교육 분야의 마인드셋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증
- 사교육 인프라와 재수 선택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교사의 장소와 ‘얽힘’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미국 농촌 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 분석
- 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2023년부터 2025년까지를 중심으로
- 초·중등 교사의 전문성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 요인 분석
- 초등교사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뷰카(Vuca)시대 전문대학생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진로의 카오스(Chaos) 이론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영어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 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시기의 단위학교 모니터링 연구–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
-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Marxism studies Vol.2 No.3 Contents
- Examining and Rethinking the Theory of Capitalist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ic History
- The Theoretical Logic and Historical Orientation of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