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Earth and Space Domain Achievement Standards Using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주영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701~7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의 성취기준을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탐색하고, 성취기준의 내용적 연계성과 구조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45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TF, TF-IDF, 중심성 지수 분석,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TF와 TF-IDF 분석을 통해 ‘설명’, ‘변화’, ‘지구’, ‘조사’, ‘특징’, ‘관찰’, ‘이해’, ‘태양’, ‘기후’, ‘과정’ 등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중심성 지수 분석에서는 ‘설명’, ‘변화’, ‘지구’, ‘조사’, ‘활동’ 등이 높은 중심성을 나타내어 교육과정 내 핵심 키워드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CONCOR 분석을 통해 ‘천문 현상 관찰 및 개념화’, ‘기후 변화와 인간 생활의 상호작용 이해’, ‘지구 시스템의 구성요소 분석 및 비교’, ‘지질 변화 과정의 모형화와 이해’를 중심으로 군집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의 교수·학습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arth and Space domai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using network analysi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by analyzing the content-related connection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s. To this end, 45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Earth and Space domain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F, TF-IDF, centrality index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F and TF-IDF analyses identified key keywords such as ‘explanation’, ‘change’, ‘Earth’, ‘investigation’, ‘characteristics’, ‘observation’, ‘understanding’, ‘Sun’, ‘climate’, and ‘process’. In the centrality index analysis, keywords such as ‘explanation’, ‘change’, ‘Earth’, ‘investigation’, and ‘activity’ showed high centrality, indicating that they function as core concepts with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CONCOR analysis revealed clusters centered on ‘observ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astronomical phenomena’,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life’, ‘analysis and comparison of Earth system components’, and ‘modeling and understanding geological change process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arth and Space domai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영. (2025).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분석. 교육발전, 45 (2), 701-717

MLA

이주영.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분석." 교육발전, 45.2(2025): 701-7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