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f Changes in Learning Competence, Learning Styles, and Instructional Method Pre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roject-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채다영(Dayoung Chae) 임선주(Sunju 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0권 2호, 63~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P대학교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성실하게 응답한 81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학습 경험에 대한 사전-사후 학습역량 함양 수준, 학습유형, 교수방법선호도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 학습 경험 후 학습역량은 종합사고력을 제외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Kolb 학습유형검사 결과 확산형의 비중이 모두 높았으며,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에서 적용형과 동화형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 경험 후 강의식 교수방법의 선호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연구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의 학습역량 특히 협업-의사소통, 정보탐색 및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이 발견탐구 학습과 더불어 구조화된 강의식 방식의 병행 필요성을 인식한다는 점에서 지식전달과 탐구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수업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이 고등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역량 강화에 기여함을 확인함과 동시에, 학습자 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의 다양성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교수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ndergraduate students at P University, and data from 81 respondents who provided valid answ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a co-curricular program designed around project-based learning, paired-sample t-tests and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o examine pre- and post-changes in students’ learning competence, learning styles, and instructional method prefer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after the PBL experience, students’ learning competenc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except for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the assimilating type was predominant in both pre- and post-tests; although the proportions of converging and assimilating types sligh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on,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tudents’ preference for lecture-based instructional method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ngaging in project-based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ject-based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learning competence—particularly in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exploration and utilizat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Moreover it suggests that instructional design that integrates knowledge transmission and inquiry-oriented learning is necessary in that students recognize the need for a structured teaching method in parallel along with discovery and exploration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project-based learning contributes to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etence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ybrid instructional design that accommodates diverse learning styles and instructional method prefer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