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2023년부터 2025년까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zing Domestic Research on ECEC Integration Perceptions: Implications from 2023–2025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조은 최윤경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675~69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유보통합 인식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1월부터 2025년 7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27편의 논문을 게재 연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으로 검토하고, 연구 목적과 주요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보통합 연구는 증가하며, 연구 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연구 대상에서는 교직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인식 주체별로 살펴보면, 교직원 연구에서는 제도 안정성과 교육과정 연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기관 유형과 직무에 따른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 연구는 정책 수용성 제고를 위해 부모 참여가 필요함을 보여주며, 수혜자로서의 기대와 우려가 정책 설계 초기에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사회적 담론 연구는 공론화와 사회적 정당성 확보의 중요성을 제기하였고, 다중집단 연구는 집단 간 차이와 공통점을 확인하며 정책 공감대 형성을 위한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종합적으로, 유보통합은 행정적 통합을 넘어 다양한 사회 주체의 심리·사회적 수용을 기반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복합적 정책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cent research trends on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and to draw implications. A total of 27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January 2023 and July 2025 were examin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purposes and main finding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studies on perceptions of ECEC integration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with quantitative research being the most common method and teachers representing the largest group of participants. By subject of perception, studies on teach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stability and curriculum linkage, reveal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by institution type and job position. Studies on parents indicated that parental participation is necessary to enhance policy acceptance and suggested that their expectations and concerns as beneficiaries should be reflected from the early stages of policy design. Research on social discourse raised the importance of public deliberation and securing social legitimacy, while multi-group studies identified both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across groups, emphasizing the need for multilayered approaches to build consensus. Overall, the findings confirm that ECEC integration should be pursued not merely as an administrative merger but as a complex policy that must be grounded i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cceptance of diverse stakeholder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과 시사점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조은,최윤경. (2025).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2023년부터 2025년까지를 중심으로. 교육발전, 45 (2), 675-699

MLA

이조은,최윤경. "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2023년부터 2025년까지를 중심으로." 교육발전, 45.2(2025): 675-6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