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Delphi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igh-Risk Adolescents in Hospital-Type Wee Centers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최아린 오인수 김민혜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905~9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병원형 Wee센터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김창대 등(2022)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1∼2단계를 적용하여, 텍스트 마이닝으로 초기 설문지를 구성한 뒤 이론 및 현장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1∼3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탄력성(중재 요인), 긍정심리학(이론적 기반), 미술(활동 전략)이 핵심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예비 프로그램은 5점 Likert 척도에서 평균 4.19∼4.52를 나타냈으며, 현장 적용을 위한 개선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병원형 Wee센터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론적 관점과 실천적 요구를 반영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imed at developing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igh-risk adolescents at hospital-type Wee Centers using the Delphi method. Following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oposed by Kim Chang-dae et al. (2022), an initial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hrough text mining, and a three-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23 experts from both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to identify the program's core components. Based on these findings, a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and reviewed for its validity and feasibility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e results identified resilience (intervention factor), positive psychology (theoretical foundation), and art (activity strategy) as the core components. The preliminary program received mean scores ranging from 4.19 to 4.52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its practical applic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systemat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that integrate theoretical perspectives with practical need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nationwide expansion of hospital-type Wee Cent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아린,오인수,김민혜. (2025).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교육발전, 45 (2), 905-935

MLA

최아린,오인수,김민혜. "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교육발전, 45.2(2025): 905-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