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시기의 단위학교 모니터링 연구–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 Monitoring Study of Individual Schools During the Phased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ing o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인봉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937~9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단계적 이행 시기(2022∼2024년) 동안의 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및 평가 측면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22년부터 조사에 참여해 온 68개 학교이며, 학교별 대표 교사 1인, 모니터링 대상 학교 전체 교사와 학년별 1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학교 특성 차이를 명료하게 살펴보기 위해 종속변인에 대한 상·하위 학교의 차이 분석과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학생과 교사의 수업 분위기의 긍정적인 변화 정도는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학교 문화 조성과 진로·학업 설계 지도에 따른 학교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와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해 노력하는 학교의 학생이 자신이 선택한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진로·학업 설계 도움 정도가 학생 선택 과목의 수업 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토대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uring its phased transition period (2022–2024), focusing o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practices. The analysis included 68 schools that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2022 onwards, utilizing data collected from one representative teacher per school, all teachers in the monitored schools, and one class per grade level of students. To investigate school characteristic differences, analyses comparing higher- and lower-performing schools were conducted for the dependent variables. Additio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ositive changes in classroom climate, as perceived by both students and teacher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ultivation of a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nd the provision of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Moreover, students in schools where teachers actively engaged in transforming teaching methods and enhancing assessment competencies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chosen courses.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emerg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elective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교양 교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진로 다변화를 위한 K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진로 로드맵 개발 사례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분석
- 대졸 취업자의 비인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 아동·청소년의 동물매개상담의 변화촉진요인과 효과에 대한 질적다중사례연구
- 대학교육체제 개혁을 위한 근간으로서 대학 교육력 키우기의 실천논리
- 학교폭력 피해를 겪은 은둔형 외톨이 경험 청소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 5세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 양육지원과 일‧가정 양립지원 서비스 요구도 분석: 창원특례시를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적용한 AI기반 심리상담 도구 활용에 대한 예비전문상담교사의 인식 연구
-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영어교육 분야의 마인드셋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증
- 사교육 인프라와 재수 선택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교사의 장소와 ‘얽힘’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미국 농촌 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 분석
- 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2023년부터 2025년까지를 중심으로
- 초·중등 교사의 전문성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 요인 분석
- 초등교사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뷰카(Vuca)시대 전문대학생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진로의 카오스(Chaos) 이론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영어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 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시기의 단위학교 모니터링 연구–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
-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개선을 위한 시·도 교육청 담당자의 인식 분석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