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Mediating Rol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Link Between Cohes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University Learning Communities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전종미 김준성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767~78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응집성과 과업 응집성이 학습자의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부산 지역의 B 대학교 학습공동체 참여 재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PROCESS 매크로(Model 4)를 이용한 매개효과 및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응집성과 과업 응집성은 모두 인지된 성취도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의사소통 능력은 두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학습공동체의 성취 인식이 단순한 결속감이나 목표 공유에 그치지 않고, 구성원 간의 질 높은 상호작용을 통해 강화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과업 응집성을 균형 있게 증진하고, 의사소통 역량을 체계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학습공동체 운영 전략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social and task cohesion influence students’ perceived achievement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ested whether communication competence mediates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415 undergraduates at a university in Busan,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Model 4) showed that both social and task cohes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achievement, partially through communication compet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achievement in learning communities is enhanced not merely through group solidarity or shared goals but through high-quality interpersonal interaction, highlighting strategies to foster balanced cohes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university learning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미,김준성. (2025).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교육발전, 45 (2), 767-784

MLA

전종미,김준성.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교육발전, 45.2(2025): 767-7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