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Social Integration Function of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Integrated Social Studies I Curriculum from a Functionalist Perspective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윤주연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659~67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에 내재된 시민사회 통합 기능의 구조를 기능주의 교육사회학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제도적 설계가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실천·변형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뒤르켐의 ‘도덕적 사회화’와 파슨스의 ‘사회체계 통합’ 이론을 분석틀로 설정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및 「사회과 교육과정」문서 분석과 고등학교 ‘통합사회’ 담당 교사 6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병행하여, 제도적 설계와 실천적 구조 간의 대응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은 사회 규범과 가치의 내면화, 공동체 정체성 형성, 갈등 조정 및 통합 실천, 제도적 정당성 강화의 구조를 통해 시민사회 통합 기능을 제도적으로 설계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수업 시간의 제약, 평가 체제의 경직성, 협력적 학교 문화의 부재 등으로 인해 이러한 통합 기능이 부분적으로만 실현된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제도적 통합 구조가 학교라는 하위 체계 속에서 시간·평가·문화의 요인에 의해 제한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민사회 통합 기능의 실질적 확산을 위해 교육목표·교수·학습·평가 간 정합성 강화, 과정 중심 평가 제도의 제도화,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역 기반 연수 확대, 학교–지역사회 협력 구조의 공식화를 제언하였다. 나아가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을 제도와 실천의 상호작용 구조 속에서 분석함으로써, 기능주의 교육사회학이 제시한 통합 기능을 현대적 학교 맥락에서 재구성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구조적 접근을 통해 학교교육이 시민사회 통합을 매개하는 교육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정책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ivic integration functions embedded i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Integrated Social Studies I curriculum through the lens of functionalist sociology of education and explored how its institutional design is enacted and transformed in schools. Grounded in Durkheim’s concept of moral socialization and Parsons’s theory of social system integration, the study combined document analysis wit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teachers to investigate the correspondence between institutional design and classroom practi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structures civic integration around four key components: internalization of norms and values, formation of community identity, conflict resolution and integration, and reinforcement of institutional legitimacy. However, teachers indicated that limited instructional time, rigid assessment systems, and a lack of collaborative culture restrict the full realization of these functions. By analyzing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institutional design and pedagogical practice, this study illustrates how the functionalist concept of integration can be reconstructed in contemporary schooling and clarifies the educational mechanisms through which schools foster civic cohe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주연. (2025).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 분석. 교육발전, 45 (2), 659-674

MLA

윤주연.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 분석." 교육발전, 45.2(2025): 659-6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