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설희 유미나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809~8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탐색하고자 PRISMA 절차에 따라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고, R을 활용하여 LDA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는 2004년부터 시작되어 2019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24년부터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다.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총 7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토픽 빈도순서대로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몰입 요인’, ‘학습참여동기 및 만족도 영향 요인’,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탐색’, ‘온라인 및 원격 교육’, ‘평생교육 정책 및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 ‘평생학습사회의 변화와 역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역량강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이라는 객관적 분석 방법을 통해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주제 발굴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research trends concerning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llowing the PRISMA protocol for article selection, we performed text data preprocessing and LDA-based topic modeling using the R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research on this subject commenced in 2004, began to increase quantitatively in 2019, and has grown sharply since 2024. Through LDA topic modeling analysis, a total of seven major topics were identified, arranged in order of topic frequency: (1) Factors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Engagement, (2)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3)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areer Exploration, (4) Online and Distance Education, (6) Lifelong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 Support Projects, (7) Changes and Roles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5)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Competency Enhanc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use of LDA topic modeling to objectively map the field's trajectory, providing a basis for future studies and the discovery of new research avenues in adult learn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교양 교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진로 다변화를 위한 K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진로 로드맵 개발 사례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와 우주 영역 성취기준 분석
- 대졸 취업자의 비인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 아동·청소년의 동물매개상담의 변화촉진요인과 효과에 대한 질적다중사례연구
- 대학교육체제 개혁을 위한 근간으로서 대학 교육력 키우기의 실천논리
- 학교폭력 피해를 겪은 은둔형 외톨이 경험 청소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 5세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 양육지원과 일‧가정 양립지원 서비스 요구도 분석: 창원특례시를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적용한 AI기반 심리상담 도구 활용에 대한 예비전문상담교사의 인식 연구
-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영어교육 분야의 마인드셋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증
- 사교육 인프라와 재수 선택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교사의 장소와 ‘얽힘’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미국 농촌 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고등학교 ‘통합사회Ⅰ’ 교육과정의 사회통합 기능 분석
- 유보통합 인식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2023년부터 2025년까지를 중심으로
- 초·중등 교사의 전문성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 요인 분석
- 초등교사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성인학습자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뷰카(Vuca)시대 전문대학생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진로의 카오스(Chaos) 이론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영어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 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시기의 단위학교 모니터링 연구–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
-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사회화 경험의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xamining and Rethinking the Theory of Capitalist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ic History
- The Theoretical Logic and Historical Orientation of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 The Pioneering Contribution and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On the Ten Major Relationships in Exploring the Path of Chinese-style Moderniz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