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이용수  0

영문명
Evaluating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조형숙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2호, 885~90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범대학의 예비교사가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영어수업 실행력과 임용시험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이라는 특수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이 영어수업 실행과 교원 임용시험에 도움 정도를 조사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2022년 영어교육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된 개별면접을 통해 연구를 시작하였고 동일 연구를 2025년에 다시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첫째, 비대면 수업의 영향이 큰 2022년 참여자는 2025년 참여자보다 영어학, 영문학, 영어교육학의 세 영역에서 영어수업 실행과 임용시험 준비에 교육과정의 도움 정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영어수업 실행과 임용시험에 교과 내용학보다 교과 교육학인 영어교육학의 도움 정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영문학의 도움 정도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학과에서 강화해야 할 전공영역으로 비대면 수업의 영향이 큰 2022년 참여자는 영어교육학을, 대면 교육과정을 이수한 2025년 참여자는 현행대로 운영하기를 원했다. 덧붙여, 영어화용론 학습, 영어교육론의 학기 조정 및 수업시연 기회의 확대에 대한 예비교사의 요구가 있었다.

영문 초록

Pre-service teachers(PSTs) must pass the National Teacher Employment Exam(NTEE) or obtain a position at a private school in order to pursue their career as in-service teachers. Critical for this purpose is the competence in implementing English classes and passing NTE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elpful the curriculum of Dept. of English Education is in implementing English classes and preparing for NTEE and explore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improvement. Survey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English PSTs were conducted in 2022 and 2025 respectively. 2022 PSTs, whose curriculum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online instruction, evaluated the perceived helpfulness of department’s curriculum in both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classes and NTEE lower in the areas of English linguistics, English literature, and English education than did their 2025 counterparts. Both groups rated English education as the most helpful area, while English literature was rated the least helpful. 2022 PSTs identified English education as a major area for enhancement in the department while 2025 PSTs tended to be satisfied with the current curriculum. In addition, there were educational needs from PSTs for learning English pragmatics, for adjusting the semester of courses of English education, and for increasing opportunities of micro-teaching.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내용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형숙. (2025).영어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교육발전, 45 (2), 885-904

MLA

조형숙. "영어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교육발전, 45.2(2025): 885-9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