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Status of Provincial and Metropolitan Offices of Education Officials on the Human Rights Surve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미숙(Mi-suk Lee) 한송이(Song-yi Ha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30권 제3호, 169~1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의 조사체계 및 실시 형태, 문항 개선을 위하여 전국 시·도 교육청 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의 담당자 3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체계, 실시 형태, 문항 수정 등에 대한 의견을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인권실태조사의 운영 체계를 보다 효율적이고 접근성 높은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의 영역 및 문항이 확장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전수조사 방식을 유지하되, 조사 운영 방식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제고하고 국가·교육청·학교·지역사회에서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officials from of officials from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regarding the survey system, implementation methods, and item improvement of the Human Rights Surve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3 officials from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cross the nation. Their opinions on the survey system, modes of implementation, and item revision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 operation system of the Human Rights Surve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improved in a more efficient and accessible manner, and that the scope and items of the survey need to be expanded. They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census survey format while supplementing the methods of survey administratio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enhanc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Human Rights Surve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the results can be practically utilized at the national, regional, school, and community leve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논집 제30권 제3호 목차
- 기능기반의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자극 행동과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질문 유형에 따른 텍스트 추론과 이해
- 의미단위 띄어읽기 중재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의미유형에 따른 경계선지능 아동의 다의어 처리 특성
- 지적장애 성인 대상 구강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개선을 위한 시·도 교육청 담당자의 인식 분석
-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논집 제30권 제3호 목차
- 기능기반의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자극 행동과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질문 유형에 따른 텍스트 추론과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