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Placeness of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조승우 최진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283~3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농촌 소규모 학교의 고유한 ‘장소성’을 재조명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 개념을 비판적으로 탐색하고, 인간 주체가 ‘타자’와 함께 존재함을 배우면서 ‘나’를 정립하는 농촌 소규모 학교의 존재 근거를 교육적 관점에서 명료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철학사적으로 간략히 조망하고, Edward Hall의 영토성 개념을 토대로 한국 초등학교가 갖는 공간성을 규모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오늘날 교육적 관계의 초점의 변화로 새로운 교육적 공간의 규모가 요구됨에도 여전히 교실 속에 다수의 학생을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은 매우 협소한 거리에 내몰리게 되고, 이를 견디지 못하는 학생들이 증가할 개연성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나아가 학교 공간을 규모로 이해하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지리학자 Edward Relph가 밝힌 ‘물리적 환경’, ‘인간 활동’, ‘의미’라는 세 가지 ‘장소 정체성’의 차원에서 학교를 ‘교육 장소’로 재조명함으로써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을 이해하였다. 먼저 교육적 교감의 소재가 되는 자연환경과 농촌 풍경이라는 물리적 환경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족성의 의미에 기반한 돌봄의 인간 활동을 실천하는 한편, 인간 존재가 자신의 ‘형성’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존재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그리하여 농촌 소규모 학교의 구성원들은 Levinas가 언급한 다원론의 실현 요건인 ‘타인에 대한 깊은 태도’를 체득하는 방식으로 교육적 성장을 이루어낸 것으로 해석하였다. 궁극적으로 타자에 대한 깊은 이해의 가능성을 가진 다양한 교육적 삶의 양식을 인정하고 효과적인 학교의 개념을 새롭게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onceptualize the idea of the effective school by reexamining the placeness of small rural schools and clarifying their educational rationale as places where human subjects coexist with others. To this end, the study traces the philosophical origins of the spatial perspective on schooling and analyzes the spatiality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The analysis reveals that, despite today’s shifting educational relationships that demand new forms of space, the continued confinement of large student groups within classrooms has created extremely narrow environments, contributing to students’ reduced coping capacities. As an alternative the study reconsiders schools as educational sites through Relph’s three dimensions of place identity, showing how small rural schools, grounded in the natural and rural environment as sources of educational interaction, cultivate human activities of care rooted in a renewed sense of familiality. Such practice fosters meaning through experiences in which existence shapes its own center. Ultimately, members of these small rural schools achieve educational growth by developing a deep attitude toward others—a prerequisite for realizing the pluralism advocated by Levinas. The study concludes by affirming the potential of diverse schools that nurture profound understanding of others and calls for rethinking the notions of effective school and effectiv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효과적인 학교’와 학교 규모
Ⅱ. ‘공간’으로서의 학교: 규모의 차원을 중심으로
Ⅲ. ‘장소’로서의 학교: 농촌 소규모 학교의 세 가지 차원
Ⅳ. 결어: 효과적인 학교, 자기 이야기를 만드는 ‘자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승우,최진. (2025).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교육학연구, 63 (6), 283-312

MLA

조승우,최진.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교육학연구, 63.6(2025): 283-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