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숲 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과 교사의 역할
이용수 2
- 영문명
- Relationships Building Experie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Forest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심상미 이영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231~2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 어린이집의 한 학급 유아들과 담임교사의 숲 활동 시 나타나는 관계 형성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교사의 역할을 알아보는 질적 연구이다. 숲 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맺기 경험은 거친 환경을 통한 도움의 공유, 계획되지 않은 자연물에 대한 발견과 탐구의 공유, 비구조적 환경에서의 도전을 공유, 자연에 의한 위로와 돌봄의 공유로 상호 관계성을 갖고 성장하며 발전하고 있었다. 또한 숲은 실내와 다르게 계획에 의한 환경이 아니므로 숲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역할은 숲 활동의 보호와 안전의 주체이자 대상, 숲 활동 결과물보다 과정과 본성 존중, 숲 활동 확장을 위한 허용과 지원, 자연을 숲 활동의 교육매개로 활용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숲에서 교사와 유아는 동등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관계성을 갖고 서로 협력하며 발전을 이루므로 숲 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숲 활동을 실천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개념화를 통해 숲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explores the relationship building experience experienced by children and their homeroom teacher in a typical daycare center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forest education has increased and become a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forest education by reconsidering the experiences of making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in forest activities and reconsidering the role of teachers in carrying out forest activities.
This study involved 16 children aged 4 to 5 years with their homeroom teacher and was directly observed in the sites of the forest activities.
For the data collection, videos were filmed and recorded as well as field notes, and non-style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and education plans were collected from the teacher. The research material was classified, organi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rough forest activities can be characterized into sharing help in harsh environments, the discovery and sharing of unplanned natural objects, the sharing of challenges in an unstructured environment, and the sharing of comfort and caring through nature. These grew and developed through interrelationships. In addition, since forests are not a planned environment, the teacher’s role in forest activities has been shown to be the following: protection and safety through forest activities, respecting the process and nature over the results of the forest activities, acceptance and support for expanding forest activities, and the use of nature as an educational medium for forest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연구: 유아기, 학령기, 청소년기 놀이경험을 중심으로
- 유아를 위한 공감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배려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 수준에 따른 창의성과 소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또래관계증진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의 시각적 장치에 따른 읽기 방식 특성 연구
-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
- 유아 인성교육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위인그림책 관련 통합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효과
- 숲 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과 교사의 역할
- 부모 면담에 참여한 유아 교사 경험의 의미
- 글자 그림책 선택 기준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성 관련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그림책 이해를 위한 유아문학수업과 연계한 소집단 토의활동의 의미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마음 읽어내기
-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보육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교사 및 예비교사 경험의 의미
-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3-2017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 유아의 협동음악활동이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및 사회지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