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그릿 수준에 따른 창의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Study of Creativity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Grit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소윤 서현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357~3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그릿 수준에 따라 종속변인인 창의성과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높이고 소진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뒤,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그릿의 수준에 따라 상·하집단으로 분류한 뒤 창의성과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창의성과 소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질적 수준과 관련하여 중요한 변인인 창의성은 높이고 소진은 낮추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그릿을 증진시켜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reativity and burnout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grit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raise the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reduce burnout.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Kyungnam in October 2017, and the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after classifying into upper and lower class according to the level of gri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ity and burnou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omoted to increase creativity and decrease burnout, which are important variables related to the qualit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연구: 유아기, 학령기, 청소년기 놀이경험을 중심으로
- 유아를 위한 공감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배려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 수준에 따른 창의성과 소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또래관계증진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의 시각적 장치에 따른 읽기 방식 특성 연구
-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
- 유아 인성교육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위인그림책 관련 통합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효과
- 숲 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과 교사의 역할
- 부모 면담에 참여한 유아 교사 경험의 의미
- 글자 그림책 선택 기준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성 관련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그림책 이해를 위한 유아문학수업과 연계한 소집단 토의활동의 의미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마음 읽어내기
-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보육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교사 및 예비교사 경험의 의미
-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3-2017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 유아의 협동음악활동이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및 사회지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