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보육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교사 및 예비교사 경험의 의미

이용수  2

영문명
The Meaning of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Experiences on Applying a Community-Linkage Childcare Program for 24-Hour Childcar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선미 이대균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181~2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시간 부모의 부재로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현실적 방안으로 지역사회를 연계한 보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확보에 도움이 되고, 24시간 보육프로그램 개발에 참고가 되어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이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10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2018년 4월 26일 예비면담을 시작해서 7월 31일까지 심층면담이 진행되었고, 문서 수집으로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자원봉사 활동일지를 수집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사 경험의 의미는 ‘통제가 안 되는 아이들로 인한 좌절감’,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의 부모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교사’,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의 긍정적인 변화에 큰 기쁨을 느껴요’, ‘반성하는 시간이 되었어요’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교사 경험의 의미는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에게 필요한 것을 알았어요’,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이 하면 잘 할 수 있는 아이임을 알았어요’, ‘저의 부족함을 알았어요’, ‘배울 수 있어서 좋아요’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a childcare program that was linked to the community as a realistic solution to the problems faced by children with 24-hour care due to the absence of the parents for a long time. This study hopes to help teachers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to give suggestions to develop a 24-hour childcare program, and to help the children 24-hour childcare as and become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started a preliminary interview on April 26, 2018 with 10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until July 31. The volunteer diaries by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 meanings of the teachers’ experiences were as follows: "Frustration from uncontrolled children."; "Teacher have to take on the role of the parents for 24-hour childcare children"; "I feel great joy in the positive change of the 24-hour childcare children" and "It gives a chance to reflect". The meanings of the pre-service teacher experiences were as follows: "I knew I needed the children of the 24-hour childcare"; "I can see the 24-hour childcare children who can do well"; "I learned my short comings" and "It's good to lear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미,이대균. (2019).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보육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교사 및 예비교사 경험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1), 181-207

MLA

이선미,이대균. "24시간 보육시설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보육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교사 및 예비교사 경험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1(2019): 181-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