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3-2017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이용수  10

영문명
Research Trend on the Ecological Education of Children: Based on Journal Papers between 2013 and 2017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미향 정정희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209~23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과 관련하여 최근에 발표된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내학술지 연구물을 대상으로 ‘유아’, ‘생태’ 키워드에 따라 총 26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통과의례의 관점에 따라 성숙기 단계에 있는 생태유아교육의 경향성을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 첫째, 실천연구 24편(92.30%)이 기초연구 2편(7.69%)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헌대상 10편(38.46%)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가 철학이나 사상에 기초한 주제에 머물고 있다. 넷째, 문헌연구 10편(38.46%), 면담연구 5편(19.23%), 사례연구 3편(11.53%), 상관연구 1편(3.84%)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헌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과의례관점으로 분석할 때 생태유아교육의 성장이 성숙기 단계에 나타나야할 생태적 세계관으로 사회적인 변화를 이끌지 못하고 있고, 지속가능발전을 가능케 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구하지 못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types, objects, themes and methods of studying according to the key words in relation to 'children' and 'ecology'.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s between 2013 and 2017 were used. Especially, I put a significant value on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education of children based on passage rites. As result, the three main findings were found in this study. First, 23 practical study (92.3%) are higher than basic study (7.69%). Second, the objects in the literature (10 with 38.46%) had 10 cases. Third, the studies on the ecological education of children still remain among the fields of philosophy or thought. Fourth, other fields of studies showed the following: Literary study (10 with 38.46%) >interview study (5 with 19.23%) >case study (3 with 11.53%) >referential study (1 with 3.84%). Among those, the literary study proved to be the mail study. Lastly, in terms of the passage rites, we know that the change in the social and ecological worldview is not supported in the maturing period. Therefore, a change in the paradigm is not encouraged and we do not expect the possibility of durable development through policies for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향,정정희. (2019).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3-2017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1), 209-230

MLA

김미향,정정희.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3-2017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1(2019): 209-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