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연구: 유아기, 학령기, 청소년기 놀이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8

영문명
A Study on the Imag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ir Play Experiences: With Priority Given to Play Experiences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소영 신세니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305~3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기, 학령기, 청소년기의 놀이경험을 이미지 그림 그리기를 통해 알아보고, 이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이미지의 특성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각 시기별 놀이경험 그림그리기와 그림에 대한 서술,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경험은 무한대의 가능성을 보이는 유아기 놀이, 둘째, 경계가 형성되는 학령기 놀이,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청소년기 놀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표상은 예비유아교사들로 하여금 성장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놀이성에 대해 자각하게 해 줄 뿐 아니라, 이들이 유아교사로서 인식해야 할 놀이의 중요성을 일깨워 유아들의 놀이 변천 및 그 발달 과정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갖게 하여 유아들과 함께 의미있는 놀이자가 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lay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ir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based on their pictures about the play experience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ir images of pl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0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year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n urban community. Data were gathered by asking them to draw pictures about their play experiences in each period and to describe the pictures, and by having individual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y experience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infancy were defined as play that showed limitless possibilities. Second, their play experiences in childhood were defined as play that set boundaries. Third, their play experiences in adolescence were defined as play that lasted "nonetheless." Giv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age recollection about play experiences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is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cognizant of not only playfulness, which has continued to remain in them during their growth but also the importance of play, which they should keep in min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finding is eventually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m to serve as environmental organizers who can create optimum play environments with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영,신세니. (2019).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연구: 유아기, 학령기, 청소년기 놀이경험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1), 305-331

MLA

이소영,신세니.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연구: 유아기, 학령기, 청소년기 놀이경험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1(2019): 305-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