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협동음악활동이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및 사회지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6

영문명
Effect of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on Empathy Abi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Intelligenc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은경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399~42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협동음악활동이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및 사회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동질성검사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협동음악활동의 공감능력에 대한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에 전체 공감능력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높게 나타났고,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전체 공감능력 점수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협동음악활동의 정서표현성에 대한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에 전체 정서표현성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높게 나타났고,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전체 정서표현성 점수가 높았으며,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협동음악활동의사회지능에대한효과를 살펴본결과, 실험집단의 경우에전체사회지능 점수가사전검사보다는 사후검사에서 높았고,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전체 사회지능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 유아들의협동음악활동이사회적상호작용을기초로하여 공감능력이나 정서표현성 및 사회지능을 높일 수 있음을 밝히고 이후 유아들이 바랍직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전인적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on empathy abi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intelligence in 40 infants (20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effect of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on empathy ability. As a result, the total empathy abilit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test.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total empathy ability scores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on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emotional expressiveness score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activities on social intelligence, the total social intelligenc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social intelligence score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can be useful for enhancing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intellig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 (2019).유아의 협동음악활동이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및 사회지능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1), 399-425

MLA

이은경. "유아의 협동음악활동이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및 사회지능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1(2019): 399-4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