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의 탄소중립교육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Carbon Neutral Education -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남용(Nam Yong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8권 제2호, 209~22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요소를 분석하여 초등 실과 교과에서 탄소중립교육의 실행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탄소중립 교육 내용을 추출하기 위하여 연구의 범위를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뿐만 아니라 학습요소,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까지 포함하였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탄소중립 내용을 추출한 결과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는 탄소중립 교육이 충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교과 및 사회교과보다 더 많은 탄소중립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탄소중립 교육이 가능한 교수학습 활동 및 주제는 탄소중립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포되어 있다. 실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탄소중립 교육이 가능한 교수학습 활동을 탐색한 결과 초등학교 실과교과에는 11개의 성취기준에 걸쳐 18가지의 탄소중립 교육이 가능한 내용 요소가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교육의 3개 모든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for incorporat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carbon-neutral educatio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utlined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o identify relevant content, the analysis focused on achievement standards, learning elements,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instruction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identified eleven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that are more aligned with carbon-neutral educat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offers far more potential for carbon-neutral education than scienc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carbon neut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re are more activies in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 care than activities in climate change cause area and climate change influence area. That finding aligns appropriately with the natur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의 결과 및 논의
Ⅳ. 연구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남용(Nam Yong Chung). (2025).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의 탄소중립교육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 (2), 209-224

MLA

정남용(Nam Yong Chung).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의 탄소중립교육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2(2025): 209-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