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데리다 철학의 해체와 차연에 근거한 초등학생 발명 글쓰기 내용의 의미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vention writing based on deconstruction and différance in Derrida's philosophy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아름(Ah-reum Park) 최유현(Yu-hy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8권 제2호, 225~25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데리다 철학의 대표적 주제인 ‘해체(deconstruction)’와 ‘차연(différance)’의 의미에 근거하여 초등학생의 발명 글쓰기의 복합적, 심층적 의미를 분석하며 초등학생 발명 글쓰기 활동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발명 글쓰기 방법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연구, 글쓰기 교육 자료 선정 및 프로그램 개발, 자료 수집, 자료 해석, 연구 결과 정리의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리다 철학을 이론적 렌즈로 활용하여 초등학생 발명 글쓰기 내용을 해체・분석하였을 때, 연구 참여자들은 발명 글쓰기 과정을 통해 텍스트의 다층적 분석, 새로운 가능성의 생성, 주제의 탈중심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텍스트 해체(deconstruction)와 차연(différance)을 통한 발명 아이디어 확장, 창의적 사고, 발명 기록의 흔적이라는 의미를 찾으며 발명 글쓰기 활동이 가진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글쓰기는 단순히 아이디어를 기록하는 활동을 넘어 텍스트를 해체하고 이를 통해 창의적 가능성을 발견하며, 의미를 확장하고 발명 아이디어를 활성화하는 복합적이고 심층적인 학습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데리다의 ‘차연’철학을 바탕으로 발명 글쓰기 방법의 이론적 기반을 체계적으로 마련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 이후로는 체계화된 발명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발명 글쓰기와 다학문적 융합 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omplex and profound meaning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vention writing, focusing on the concepts of “deconstruction” and “différance,” which are representative themes in Derrida’s philosophy. It explor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invention writing activities and, through this analysis, establish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vention writing methods. Emplo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es of basic research, selection of writing education materials and program development, data collection, data interpretation, and research result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rrida’s philosophy, applied as a theoretical lens, enabled a multilayered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vention writing. Participants engaged in text analysis, explored new possibilities, and decentralized topics during the writing process. Second,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invention writing activities was explored,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invention writing education through text deconstruction, différance, creative thinking, and the traces of texts and inventions as records. The conclusion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invention writing is a complex and in-depth learning activity that transcends the simple activity of recording ideas, deconstructing texts, discovering creative possibilities through them, expanding meaning, and activating invention ideas. Seco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invention writing methods can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based on Derrida’s philosophy of “difference.” Invention writing activities offer learners a chance to trace creative think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text and ideas, leading to new think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invention writing education program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vention writing and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아름(Ah-reum Park),최유현(Yu-hyun Choi). (2025).데리다 철학의 해체와 차연에 근거한 초등학생 발명 글쓰기 내용의 의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 (2), 225-251

MLA

박아름(Ah-reum Park),최유현(Yu-hyun Choi). "데리다 철학의 해체와 차연에 근거한 초등학생 발명 글쓰기 내용의 의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2(2025): 225-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