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친환경 수송과 건설 기술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wareness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문대영(Dae-young Moon)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8권 제2호, 53~6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친환경 수송과 건설 기술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교육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A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 25명이 참여하여 개방형 질문에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는 친환경 수송 수단의 에너지로 다양한 대체 에너지를 포함하여 인식하고 있으나, 일부 오개념이 확인된다. 친환경 대체 에너지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고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는 친환경 수송 수단에 대해 긍정적 속성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나, 소수의 부정적 인식도 확인된다. 향후 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술영향 평가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는 친환경 건설 기술과 관련하여 그린 하우스, 패시브 하우스, 에너지 제로 하우스 등의 개념 및 친환경 에너지의 활용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으나, 일부 오개념이 확인된다. 친환경 건설 기술에 대한 구조적 이해와 이론적 정교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 예비교사는 친환경 건설 기술에 대하여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나, 소수의 부정적 인식도 확인된다. 이는 기술의 실효성과 한계에 대한 인식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향후 기술과 사회 간 상호작용을 성찰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technologies,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responses to open-ended survey questions from 25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at University 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showed awareness of various alternative energy sources for eco-friendly transportation, although they held some misconceptions. Thus,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hat fosters a comprehensive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se energy sources. Second, teachers generally held positive perceptions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technologies, though a minority expressed negative views. This indicates the necessity for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critical assessment of the societal impacts of technology. Third, teachers expressed awareness of concepts related to eco-friendly construction technologies such as greenhouses, passive houses, zero-energy houses, and renewable energy usage, yet some misconceptions persisted. Theref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focus on enhancing structural understanding and theoretical clarity about eco-friendly construction technologies. Fourth,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held positive perceptions of eco-friendly construction technologies, with only a few expressing negative views, reflecting practical concerns about technological efficacy and limitations. Educational frameworks that encourag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are thu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대영(Dae-young Moon). (2025).친환경 수송과 건설 기술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 (2), 53-69

MLA

문대영(Dae-young Moon). "친환경 수송과 건설 기술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2(2025): 5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