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전 후 일본과 오시이 마모루(押井守)의 공각기동대 - 테크노 오리엔탈리즘((Techno-Orientalism)을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Postwar Japan and Mamoru Oshii’s Ghost in the Shell : Focusing on Techno-Orientalism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정희(J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9輯, 287~3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themes of memory, identity, life, and networks in Ghost in the Shell through the lens of techno-orientalism. First, the film portrays the instability of identity resulting from “immoral memory manipulation technologies,” illustrating that humans are networked beings constantly shaped by their environments. The depiction of networks as living entities reflects a Shinto-inspired worldview, standing in contrast to Western anthropocentrism. The fusion of Motoko Kusanagi and the Puppet Master echoes the union of gods and humans in Japanese mythology, suggesting a continuum of life that resonates with Japan’s animistic traditions. Furthermore, the film reinterprets the tropes of techno-orientalism found in cyberpunk by integrating elements of Japanese mythology, particularly through the motif of the “mirror image,” which symbolizes postwar Japan’s identity crisis and serves as a critiq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Ultimately, Ghost in the Shell emerges not merely as a science fiction animation, but as a profound inquiry into memory and identity, offering a critical reflection on techno-orientalism and proposing new ontological possibilities.
영문 초록
本論文は、『攻殻機動隊』におけるテクノオリエンタリズムの表彰、および記憶と自我、生命とネットワークをめぐる諸問題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まず、本作は「インモラルな技術による記憶操作」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アイデンティティの揺らぎを描き、人間が周囲に影響を受けるネットワーク的存在であることを示している。記憶は再構成されやすく、環境との関係で変容し続けるものであるとし、固定的な自我の存在を否定している。また、ネットワークを生命体として描くことで、日本の神道的世界観と重ね合わせ、西洋の人間中心主義に対抗している。特に、草薙素子と人形使いの融合は、日本神話に見られる叙事構造と類似しており、ネットワークを生命の連続体として捉える視点は、日本のアニミズム的伝統と共鳴している。さらに、作品はサイバーパンクに見られるテクノオリエンタリズムの特徴を借りつつも、日本の神話を引用し、独自の視点で再解釈している。戦後日本のアイデンティティ問題を象徴する「鏡像」としてのモチーフを用い、アメリカと日本の関係を批判的に描写している。最終的に、『攻殻機動隊』は単なるSFアニメではなく、記憶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問題を通じて、テクノオリエンタリズムへの批判と新たな存在論の可能性を示唆している。
목차
1. 머리말
2. 인간의 기억과 자아 정체성
3. 생명과 네트워크
4. 테크노 오리엔탈리즘(Techno-Orientalism)과 전후 일본
5. 거울상(像)으로서의 일본과 미국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てもらう」の韓国語対応に関する一考察 - 「ていただく」も付け加えて
- 에듀테크 기반 일본어 학습 실천 사례 보고 - 대학생의 자율 학습 유형을 중심으로
- 複文における「ないと」の条件的用法に関する一考察
- 다회적 사태를 나타내는 「シテハ」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와의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 일본인의 지옥관 - 지옥 그림(地獄絵)의 문학적 수용과 의미
- 현대 일본의 역사인식문제 - <우주전함 야마토>와 <바람이 분다>에 나타난 전쟁관
- 明治から平成時代にかけての新語·流行語の推移
- 現代日本語のいわゆる誘導使役に関する一考察 - 指令使役との比較·対照の観点から
- 통감부 시기 일본어 학습서의 변용에 대한 일고찰 - 日語大成(1910)과 獨習日語正則(1907)의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 ア系列とソ系列指示詞における非直示用法の意味的機能についての考察 - 様相的性質の観点から
- 히라노 게이치로(平野啓一郎) 문학 연구 - 분인주의 사상의 문학적 구현을 중심으로
- 교육의 격차와 차별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지원의 한계와 개선 방향 - 브래디 미카코(ブレイディみかこ)의 논픽션을 중심으로
- 일본의 <도덕> 교과서와 내셔널리즘 - <수신>에서 <도덕>으로, 그리고 현재의 중학교 <도덕> 검정 교과서
- 전시기의 희극영화 - <즐거운 인생(愉しき哉人生)>(1944)의 캐릭터 특징과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중심으로
- 패전 후 일본과 오시이 마모루(押井守)의 공각기동대 - 테크노 오리엔탈리즘((Techno-Orientalism)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