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인의 지옥관 - 지옥 그림(地獄絵)의 문학적 수용과 의미
이용수 2
- 영문명
- The Japanese View of Hell : Literary Acceptance and Meaning of Hell Painting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이미령(Mi-Ryung Lee)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9輯, 217~2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clarify medieval Japanese views on hell by examining how jigokue (hell paintings) were received and represented in Japanese medieval literature. Focusing on the hell paintings of Chorakuji Temple, it compares Saigyō, who experienced these images firsthand and used them as poetic material, with Kenreimon-in, a literary figure to whom a symbolic hell experience is attributed. Through this comparison, the study investigates how visual imagery was transformed into literary and religious messages.
In his waka sequence Upon Seeing Hell Paintings, Saigyō demonstrates that hell paintings function not merely as visual stimuli, but as literary mediators expressing awareness of karmic sin and a longing for salvation. In contrast, in the case of Kenreimon-in, the hell painting mentioned in Kankyō no Tomo is expanded in The Tale of the Heike, where it becomes a literary device. The narrative deliberately situates temples associated with hell imagery within her life story, aligning the tragic downfall of the Heike clan with the suffering of the Six Realms.
Thus, hell paintings are not simply visual images but serve as textual reflections of contemporary beliefs about faith and salvation. They may be interpreted as complex cultural codes in which literature, religion, and visual art intersect.
영문 초록
本論文は、日本中世文学における地獄絵の受容様相を考察することによって、当時の日本人の地獄観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特に、長楽寺の地獄絵を中心に、それを実際に体験し文学的創作の素材とした西行と、物語の登場人物として地獄体験が与えられた建礼門院を比較することで、視覚的イメージがいかに文学的·宗教的メッセージへと転換されるのかを探求した。 西行は連作和歌「地獄絵を見て」を通じて、地獄絵が単なる視覚的刺激を超えて、罪業の自覚や救済への願望を表現する文学的媒介として機能することを示した。一方、建礼門院の場合、『閑居友』に登場する地獄絵は『平家物語』において拡張され、文学的装置として機能している。『平家物語』は彼女の人生に地獄絵と関係する寺院を意図的に配置し、彼女が経験した平家一門の滅亡という苛烈な現実を、地獄道に対応させて六道輪廻の苦しみとして構成している。 このように、地獄絵は単なる視覚的イメージではなく、信仰と救済に対する当時の人々の意識を反映するテキストであり、文学·宗教·視覚芸術が融合する複合的な文化コードとして解釈され得るものである。
목차
1. 머리말
2. 지옥 그림의 형성과 문학적 수용
3. 사이교와 멸죄의 서사
4. 겐레이몬인과 지옥체험의 문학적 재현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てもらう」の韓国語対応に関する一考察 - 「ていただく」も付け加えて
- 에듀테크 기반 일본어 학습 실천 사례 보고 - 대학생의 자율 학습 유형을 중심으로
- 複文における「ないと」の条件的用法に関する一考察
- 다회적 사태를 나타내는 「シテハ」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와의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 일본인의 지옥관 - 지옥 그림(地獄絵)의 문학적 수용과 의미
- 현대 일본의 역사인식문제 - <우주전함 야마토>와 <바람이 분다>에 나타난 전쟁관
- 明治から平成時代にかけての新語·流行語の推移
- 現代日本語のいわゆる誘導使役に関する一考察 - 指令使役との比較·対照の観点から
- 통감부 시기 일본어 학습서의 변용에 대한 일고찰 - 日語大成(1910)과 獨習日語正則(1907)의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 ア系列とソ系列指示詞における非直示用法の意味的機能についての考察 - 様相的性質の観点から
- 히라노 게이치로(平野啓一郎) 문학 연구 - 분인주의 사상의 문학적 구현을 중심으로
- 교육의 격차와 차별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지원의 한계와 개선 방향 - 브래디 미카코(ブレイディみかこ)의 논픽션을 중심으로
- 일본의 <도덕> 교과서와 내셔널리즘 - <수신>에서 <도덕>으로, 그리고 현재의 중학교 <도덕> 검정 교과서
- 전시기의 희극영화 - <즐거운 인생(愉しき哉人生)>(1944)의 캐릭터 특징과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중심으로
- 패전 후 일본과 오시이 마모루(押井守)의 공각기동대 - 테크노 오리엔탈리즘((Techno-Orientalism)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