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Friendship Quality, Motivation, Depression, and Anxiet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주영 김자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59~1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우울 및 불안 정도를 일반 아동과 비교하는 한편, 친구관계의 질이 우울 · 불안, 그리고 친구관계를 발달시키는 동기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6학년 학습장애 아동 17명과 이들과 성별,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친구관계의 질, 친구관계 동기, 우울 ·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친구관계의 질을 구성하는 각 하위측면과 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친구관계의 동기에 있어서는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인 자기결정적 동기화 점수인 자기결정성 지수(SDI)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동기의 하위유형별로는 확인된 조절은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반면, 무동기는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우울 및 불안 정도를 나타냈다. 우울의 하위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도 모든 유형에서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친구관계의 질과 우울 · 불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친구관계의 질의 각 하위측면 및 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은 전반적인 우울 · 불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 질의 하위측면들은 우울의 하위유형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은 우울의 하위유형 중 특히 우울 정서 및 자기 비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일반 아동은 친구관계 질의 하위측면 및 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과 전반적인 우울 · 불안 및 우울의 하위유형 모두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한편 두 집단 모두 우울과 불안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친구관계의 질과 친구관계 동기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riendship quality, motivation,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LD) in elementary school age. 17 children with LD in the 4th∼6th grades(11 boys and 7 girl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17 children without LD who were matched on gender and age with LD children als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LD showed a meaningful lower score on the friendship quality than those of children without LD. Second, children with LD showed a meaningful lower score on the identified regulation and higher score on the amotivation than those of children without LD. Third, children with LD showed a meaningful higher score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ose of children without LD. Forth, friendship qua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type of depression among students with LD. Finally, friendship quality was not correlated with friendship motivation.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 was addre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