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Reading Comprehension and Factors Affecting the Reading Outcome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영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67~7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살펴보고, 읽기 이해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5세 미만에 인공와우이식을 받고, 중복장애와 심한 내이기형이 없으며, 일반 초등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 초등학생 31명(1-6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아동의 읽기 이해력은 수준별 교육을 위한 읽기 진단 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말지각, 자음정확도, 수용어휘, 단어재인 검사도 함께 실시였다.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 말지각, 자음정확도, 수용어휘, 단어재인 점수 중에서 어떤 것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 아동의 33%는 정상적인 읽기 발달을 하고 있었다. 아동의 평균 읽기 이해력은 2.1학년 수준이고, 읽기 발달의 지연 정도는 1.4학년으로 나타났다. 말지각, 자음정확도, 수용어휘 발달률, 단어재인 중에서, 수용어휘 발달률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예측해주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인공와우이식으로 청각장애 아동의 일부는 정상적인 읽기 이해력의 성취가 가능하며, 수용어휘 발달이 정상적인 읽기 이해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읽기 이해력 발달에 지연이 있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CI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irty-one school-aged children who received a CI under 5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had no severe inner ear malformation and multiple handicaps. The study examine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by the criterion referenc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Children's speech perception, articulation, receptive vocabulary, and word recognition were assess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wide range of performance o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from normal to severe developmental delay. 33% of children with CIs obtained grade-level equival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rate of the receptive vocabulary development was th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reading outcomes. A wide range of reading outcomes would depend on their receptive vocabulary skill in children with CIs. Children with CIs may have a potential risk for improve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so these children should be identified early and provided with reading and language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