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nalysis on Teachers' Recognition towar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Students with Deaf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성규 남인수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409~42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여 청각장애학생 두 집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의 16개 청각장애학교 교사 301명이 조사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육과정 체제와 관련된 12문항과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1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배부하였다. 교육과정 체제와 운영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각각 3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청각장애학생와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에서 배경변인별에 관계없이 모두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교육과정 적용에서 운영에 해당하는 구성요인과는 높은 연계성을 보이지만, 교육과정 체제의 구성요인과는 연계성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청각장애학생 또는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육과정 수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또한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war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students with deaf and multiple disabilities. 301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hich divided into two parts, 12 questions with curriculum structure and 12 questions with curriculum management were adopted for this study. T test,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indicated the necessity to develop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students with deaf and multiple disabilities; (b)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preferred the curriculum management rather than the curriculum structure in curriculum adoption; (c)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indicated the structure in the curriculum management without the curriculum structu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or students with deaf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hearing impaired school concentrated to the curriculum management without the curriculum structure or little concerns with the curriculum struc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