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ith Those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about Implement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대영 윤혜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41~1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AST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G도에 소재한 특수학급이 설치된 230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 각각 150명씩 모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들은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낮았으며,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은 군·면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시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은 군·면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시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육경력에서 교육경력이 높은 교사 순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요약하면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전체적인 설문 문항에 대한 두 집단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보편적 학습 설계의 일부 하위요소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하여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n the application of UDL by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CAST targeting 150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150 special class teachers from 23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s had relatively low awareness on the application of UD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awareness on the application of UDL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by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working in Gun/Myeon region had higher awareness than the teachers working in urban area. Third, regarding the awareness on the application of UDL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by of the subject the teachers working in Gun/Myeon region show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 teachers working in urban area. As well, regarding the teaching care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the teacher who had higher teaching career. In a shor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whole questionnaire between two groups,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some sub-categories of UD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