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rend and Issues in Experimental Research of Leisure Skill and Activity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고혜정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317~3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가 기술은 지적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지역사회에서의 통합을 촉진하는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여가기술 및 활동을 중재한 국내 연구를 고찰하여 그 동향을 살펴보고 현장에서의 적용 방법 및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문헌을 검색하였으며, 그 결과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논문을 대상으로 먼저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본 후, 실험설계, 연구 참여자, 독립변인, 종속변인, 중재전달방법의 질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여가 기술 중재 논문의 편수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연구대상은 대부분 중고등학교 학생이었다. 둘째, 가장 높은 빈도로 활용된 여가 영역은 건강․스포츠 영역이었으며 중재는 주로 지역사회시설에서 이루어졌으며, 개별지도와 소그룹지도를 활용하였다. 셋째, 모든 논문이 종속변인으로 사회적 행동 및 사회적 기술을 포함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여가 기술 및 활동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A leisure skill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motes inclusion into a loc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plore the trend of intervention on leisure skills and activit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e last 10 years. 16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3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research type, participants), dependent variables(leisure areas, intervention types, delivery methods such as group size, location, and duration), and independent variables(social skills, leisure skills, measure tools, and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ew intervention studies of leisure skills and activit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most frequent area of leisures was health and sports, and intervention was commonly conducted in local community facilities using individual instruction and small group activities. Third, all research deal with social skills and activities as dependent variables. Final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