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Parent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한나 정은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381~40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장애아동 부모교육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문헌분석을 위해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47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주제, 중재내용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장애영역은 정서 행동장애와 발달지체 영역의 연구가 활발하였고 감각장애 영역은 적었다. 연구대상은 아동의 경우 유아와 초등학생이 대부분이었고, 부모의 경우 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연구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실험연구, 조사연구, 내용분석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한 것이 많았고, 조사연구는 질문지법을 적용하였다. 셋째, 연구주제는 아동대상의 실험연구는 의사소통 능력의 효과를 본 것이 많았고, 부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조사연구는 대부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실태에 관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연구의 중재내용은 인지영역과 행동주의 영역이 대부분이었다. 장애아동의 부모교육은 생애단계별로 요구되는 바가 상이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에도 아동과 부모 뿐 아니라 가족지원 차원에서 다양한 발달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s, subjects of research, methods of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research topics, dependents variables, and independents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on 47 researches related parent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2.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while the most topics of the researches were behavioral disorders followed by developmental delay and mental retardation, the area of visual, physical, hearing impairments takes relatively little. Classifying subjects into children and parents, for children, the most researches were related infant and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so, for parents, researches for moth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Second, regarding studies on research type and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frequency of studies used experimental study and descriptive study was almost the same. In experimental study,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In descriptive study, content analysis and survey research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Third, regarding research topics and dependents variables, parents' demands and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fact finding survey were mostly studied in survey researches. It seems that researches of parents` demands and survey for current condition are basic in plann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experimental study, in children’s side, studies on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 abilities and in parents' side, studies on parenting stress were mostly researched. Fourth, in the contents of intervention in experimental studies, most studies were focused on cognitive theory followed by behavior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