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Family-Centered Intervention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경민 이미숙 노진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01~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만 0-5세 장애영유아를 위한 가족중심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총 20편이었고, 이를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중재(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 아동은 만 3-5세 발달지체 유아가 대부분이었고, 가족 구성원으로는 주로 어머니가 대상이었으므로, 만 0-2세의 장애영아와 어머니 이외 다른 가족 구성원의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단일대상연구, 실험연구, 사례연구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향후 가족이 참여하는 연구에는 질적 연구법을 사용한 연구가 요구된다. 중재에 대한 분석결과로 중재 훈련 방법은 연구자가 주도하는 설명식 강의와 시범이 대부분이었으므로 중재자가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훈련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중재 기간은 3개월 미만의 단기간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앞으로는 장기간의 연구가 실행될 필요성이 있었다. 종속변인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 관련 종속변인은 의사소통과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았으나 신변자립 향상을 위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였다. 가족 관련 종속변인을 확인한 연구는 부족하였는데, 주로 가족 중재자와 장애영유아의 상호작용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추후에는 가족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가족 관련 종속변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of domestic researches on family-centered intervention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ged 0-5 between year 2004 and 2013. Total 20 research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analyzed by the subjects, methodologies, interventions(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s, the subjects were mostly young children of 3-5 ages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communication disorders. Of the family members, mothers were usually the subjects. Those analysis results showed a need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aged 0-2 and family members other than mothers. As the methodology, single-subject, experimental, and case studies were usually carried out, which called for researches using qualitative methodologies when family members participate in them. The analysis results of interventions revealed that the usual training methods for intervention were explanation-based lectures and demonstrations led by the researcher, which pointed to the need for training methods to allow the mediator to do reflective thinking.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usually at home with a shortage of interventions implemented in the community. As the intervention period, most of the researches had an intervention of three months or shorter, which raised a need for long-term research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ependent variables, there were many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kills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but the researches on the enhancement of self-help were in absolute shortage and need to be done more. The researches that confirmed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family were lacking with most researches measuring changes to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family mediator and the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uture study should confirm family-related dependent variables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the fami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