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the Mother’s Countries of Origin on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Functions of Preschool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송복선 이지윤 최양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257~27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베트남, 몽골, 필리핀인, 생활연령 5~6세 아동을 각 출신국가별로 7명씩, 모두 21명을 대상으로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 측면에서 조음음운능력을 평가하여 어머니의 출신국가 간에 비교하였다. 아울러 아동의 조음음운능력과 어머니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출신국가와 가정 내 언어환경에 따른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종합적인 자음정확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출신국가에 따른 세부적인 음운변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조음음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아동의 교육기간이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양한 출신국가를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대한 이해와 이들의 조음음운 향상을 위하여 한국어교육지원 등의 재활서비스에 관한 지침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process by the preschoo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thers came from different nationalities. The total of 21 preschoolers between the age of five and six who are grow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of mothers from Vietnam, Mongolia, and the Philippin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of the preschoolers with mothe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However, for the phoneme fluctuations, the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with the initial sound omit among the omit phoneme fluctuations in order of Vietnam, Philippines, and Mongolia. Second,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and the phoneme fluctuations among the home environmental factors were observed to be related to the training period of the children. In conclusion, the children did not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by the mothers’ nationalities while they did statistically for the phoneme fluctuations. In addition, multicultural children' phonological abilities to improve that provides support and education for the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