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n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Hearing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권요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를 먼 과거 환경 변인, 과거 환경 변인, 현재 환경 변인에 따라 요인 분석하고, 이들 요인에 대한 청각장애교사의 인식 경향과 교사의 학교급별, 경력별 인식 차이를 알아보며, 학업성취 관련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의 청각장애 특수학교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5점 척도의 총 3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 학업성취 관련 요인은 먼 과거 환경 변인에서 3개요인(학교환경, 사회환경, 가정환경), 과거 환경 변인에서 4개요인(학생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의사소통 특성, 장애 특성), 현재 환경 변인에서 3개요인(교사 변인, 수업계획과 관리, 수업실행과 평가)등 총 10개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청각장애학생 학업성취 관련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향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과거 환경 변인 중 학생의 정의적 특성, 의사소통 특성에서 경력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 변인에서 교사 변인에 대해 경력별,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났다. 이외의 요인에 대해서는 인식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10개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of remote past,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past, and present environmental variables on what were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hearing disorders; to analyz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and to analyze what correlation exists between factor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 was carried out with 100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ring disorders. Collected survey sheets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product moment correlation of Pears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igured out that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orders were 10 factors in total - 3 factors in environmental variables of remote past (schoo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family environment), 4 factors in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past(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disorder characteristics), and 3 factors in present environmental variables(teacher variable, teaching plan and management, and teaching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recognition tendency of teachers about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orders and differences in recognition each background variables, in environmental variables of remote past, recognition tendency appeared high in the order of family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In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past, recognition tendency appeared high in the order of disorder characteristics, affective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present environmental variables, recognition tendency appeared high in the order of teaching plan and management, teaching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eacher variables. Overall, recognition tendency appeared high in the order of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past, environmental variables of remote past, and present environmental variable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ccording to career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mong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past. There appeared differences in recognition according to career and school in teacher variables among present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der in teaching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For other related facto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cogni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Correlation among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orde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the 10 related factors. From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influences of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 on teaching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it appeared that factors related to schoolwor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orders explained teaching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by 63.6%.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핵심어 전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읽기-수학 공존학습장애 위험아동, 일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Computer-Based Listener Emersion Procedure on Learning Listener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 통합학급 일반 여고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사회적 기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 스피치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과 의사소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과 ADHD성향 초등학생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관찰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청각장애학생과 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조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