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and Need Assessment of Schoo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서유진 남숙경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83~2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통합교육을 제공받는 장애학생 수가 증가됨에 따라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상담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총 6개의 영역, 36개의 세부역할로 분류하고, 초등학교 통합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의 인식수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Borich의 요구도 공식으로 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간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총 6개 영역에 포함된 36개 세부역할의 역할 필요도 인식 수준은 수행역량 인식 수준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36개의 세부역할 중 32개 세부역할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간 인식 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5 이상)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로 ‘집단 따돌림, 성폭력, 알코올, 약물, 학업중단 등의 문제예방과 해결을 위한 상담’, ‘장애학생 평가와 심리검사 실시와 해석’, ‘장애학생의 (조)부모를 위한 상담’,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 ‘자기옹호 기술, 독립성 습득을 위한 상담’의 역할은 요구도 순위가 높게 나타나 교사의 수행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역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통합교사의 장애학생 상담수행 능력을 계발하고, 장애학생 상담 활성화를 통해 성공적인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ounseling for those students for social inclusion has been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eacher's roles for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6 areas and 32 specific roles, and surveyed with 168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the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of schoo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by using the need assessment formula.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all of the 36 roles, the teachers' perceptions of require-performance levels were higher than present-performance levels and for 32 out of the 36 rol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or more). Also, the levels of need assessment regarding counseling for bullying, alcohol, drug, and drop-out, implementing assessment for disabilities and psychological problems, counseling for (grand)parents and siblings, counseling for problem-solving, counseling for self-advocacy and independence were pretty high in each area for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y of providing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oreover, successful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유진,남숙경. (2013).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5 (3), 183-202

MLA

서유진,남숙경.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5.3(2013): 183-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