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 review on the recent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정희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7호, 713~73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eacher education related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not only quantity but also the length and duration of research compared to other researched areas. Once the Fundamental Law on the Korean Language enacted in 2005 clarified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and requirements,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research increased. Also,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establishing itself among the fields of academic research becomes visible, discussion over teacher education becomes ever so critical. This study surveyed 87 published pap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focused research works and analyzed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By their types, research shows a total of only 69 published papers; of the total there were 0 doctoral dissertations, 23 graduate theses and 46 articles published as part of academic journals. Just in numbers alone, it is insufficient. When divided according to research topics—1) teacher’s qualification; 2)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program; 3) teacher policies; 4) etc.—it was mainly teacher education program trends, analysis and proposals that made up the bulk of published research and hardly any research was found related to teacher self-introspection. But recently more studies on improving teaching methodology based on classroom observation have increased, suggesting a healthy direction for needed research. In research methods, likewise, many are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theory-based studies and are moving toward proof or evidence-based studies such as experiments, classroom observation and survey analyses type research. Moving and increasing toward research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classroom observation and teacher self-introspection will not only improv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performance but ultimately will contribute toward at enhancing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목차
1. 서론
2. 교사 교육의 개념과 범위
3. 한국어 교사 교육 연구 현황
4.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 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 기반 구두 발표 연구
-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 “Should I Learn Korean?” A Multiple Case Study of Learning Korean as Heritage Language
-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 언어 연구
- 한국어교육 평가 연구
-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등급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 담화 및 화용과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교육 방안
- 인터뷰 면접자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활성화’ 발화 연구
-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방법론 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 입출력 강화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1
- 한국어 이해 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발음 오류 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