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1
이용수 7
- 영문명
- Reconsidering the ways of classification and functions of questions in a second language classroom setting 1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백승주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7호, 77~11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of classification for questions in a second language classroom setting.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n standards of classification, the various problems of referential questions and display questions proposed by Long & Sato (1983) were reviewed. Long & Sato (1983) insist that referential questions can promote student-teacher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In contrast, they argue that display questions can cause students to become passive. However, based on the frameworks of conversation analysis, I insist that questions do not have their own function, and the role of questioning can change depending on the instructional object, lesson level, and structure of conversation in the classroom.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3.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4. 수업 단계별 질문의 사용 양상과 그 기능
6.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 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 기반 구두 발표 연구
-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 “Should I Learn Korean?” A Multiple Case Study of Learning Korean as Heritage Language
-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 언어 연구
- 한국어교육 평가 연구
-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등급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 담화 및 화용과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교육 방안
- 인터뷰 면접자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활성화’ 발화 연구
-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방법론 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 입출력 강화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1
- 한국어 이해 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발음 오류 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