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The History and Prospect of Learner Language Research: Focusing on vol. 1-99 of Bilingual Research.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이해영(Haiyoung Lee)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100호, 33~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학』 제1호부터 제99호(1985~2025.3.)에 게재된 학습자 언어 관련 논문 297편을 분석하여, 창간 이후 지난 40년간의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론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시기별 구분을 통해 학습자 언어 연구에 반영된 관점의 변화를 추적하고, 주제와 방법의 변화를 포착하였다. 이를 위해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연구 방법의 정량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LDA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 주제의 응집성과 구조적 연관성을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2011년 이후에는 학습자 언어의 발달과 변이에 관심을 가지면서, 화용 습득, 화용 능력, 화행, 화행 평가, 유창성 등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 발달에 주목하는 화용 관련 주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도 발화 유도 과제와 추리통계 방법의 활용이 확대되었고, 공시적, 유사통시적 접근이 병행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 언어를 역동적이고 가변적인 발달 체계로 이해하려는 관점의 전환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이중언어학』 제1호부터 제99호(1985~2025.3.)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 언어 연구의 전개 양상을 조망하고 이중언어학회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인하며,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s a quantitative analysis of 297 articles on learner language published in Bilingual Research, Volumes 1 to 99,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matic and methodological trends over the past four decades. To this end, quantitative techniques including multiple response analysis, LDA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show that, prior to 2010, research predominantly focused on grammar through contrastive and error analysis, reflecting a strong tendency to view learner language primarily as a target for correction. Since 2011, however, a developmental approach grounded in interlanguage theory has gained traction, accompanied by growing interest in pragmatic competence, speech acts, and fluency. Following 2011, pragmatics-related keywords have shown increasing degree centrality in keyword networks, particularly within densely connected communities. These findings reflect a shift in perspective: from viewing learner language as a static collection of errors to understanding it as a dynamic and variable developmental system. This study reinterprets these changes through the lens of interlanguage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Korean learner language research and outlines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동향 분석
5. 학습자 언어 연구의 향후 과제와 전망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해영(Haiyoung Lee). (2025).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33-53

MLA

이해영(Haiyoung Lee).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5): 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