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0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방성원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7호, 591~62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s to the future research. Specifically, the research papers appeared in the domestic journals and doctoral theses were analyzed. For th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he five categories that are development of textbook,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xtbook, practical use of teaching materials,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textbooks and distance learning materials were respectively analyzed. In addition, research papers as to the target level of the textbook, learner’s motivation and purpose, learner’s language, cultural contents and linguistic factors of vocabularies, grammar, pronunciation, etc. as described in the textbooks, language skills and constitution of units were also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trends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discussed per each detailed subject and the direction on the future research as to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proposed.
목차
1. 머리말
2. 분석 대상 및 방법
3. 연구 성과 분석 및 논의
4.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 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 기반 구두 발표 연구
-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 “Should I Learn Korean?” A Multiple Case Study of Learning Korean as Heritage Language
-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 언어 연구
- 한국어교육 평가 연구
-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등급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 담화 및 화용과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교육 방안
- 인터뷰 면접자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활성화’ 발화 연구
-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방법론 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 입출력 강화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1
- 한국어 이해 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발음 오류 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